카테고리 없음
📊 예비타당성 평가란? | 1조짜리 국책사업, 과연 경제성이 있을까?
독깨비아빠
2025. 5. 19. 20:23
반응형
“왜 어떤 대형 국책사업은 갑자기 멈추고, 어떤 건 빠르게 추진될까요?”
“지방에서는 간절한 SOC 사업이 정부 단계에서 좌초되는 이유, 예비타당성 평가 때문일까요?”
도로, 철도, 공항, 산업단지… 국가 재정을 투입하는 굵직한 공공사업 뒤에는 반드시 거쳐야 하는 절차가 하나 있습니다.
바로 **‘예비타당성 평가(Preliminary Feasibility Study, 이하 예타)’**입니다.
이번 글에서는 예비타당성 평가란 무엇인지, 왜 필요한지, 평가 기준과 통과 요건, 주요 사례, 그리고 지역 간 형평성 논란까지 깊이 있게 정리해보겠습니다.
📌 예비타당성 평가란?
예비타당성 평가는
국가재정이 투입되는 대형 사업의 경제성, 정책성, 지역균형발전 가능성 등을 사전에 종합적으로 검토하는 제도입니다.
✅ 쉽게 말해, “이 사업에 국민 세금을 들일 가치가 있는가?”를 먼저 판단하는 관문입니다.
✔ 1999년부터 본격 시행되었으며,
✔ 총사업비 500억 원 이상, 국가 재정 지원 300억 원 이상 사업은 원칙적으로 예타 대상입니다.
📈 예비타당성 평가의 필요성
- 🏗️ 대규모 재정 투입에 따른 검증 절차 필요
- 💸 예산 낭비 방지 → 경제성이 없는 사업 사전 차단
- ⚖️ 정치 논리에 따른 비효율적 지역 편중 방지
- 📑 정부 재정운용의 투명성 및 책임성 확보
🧮 예비타당성 평가의 주요 평가 항목
예타는 단순한 경제성 평가만이 아닌, 다면적 기준으로 진행됩니다.
항목세부 내용
경제성 분석(B/C) | 비용 대비 편익 분석 (B/C > 1.0이면 경제성 있음) |
정책성 분석 | 국가 정책과의 연계성, 전략적 필요성 |
지역균형 분석 | 낙후 지역 개발 기여도, 지역 발전 파급효과 |
기술적 타당성 | 기술 구현 가능성, 사업 추진 여건 |
환경·사회 영향 | 환경 훼손 가능성, 주민 수용성 등 |
📌 최종 종합평가는 B/C 값뿐 아니라 정책성·균형발전 평가까지 포함한 가중 평균 점수로 결정됩니다.
🧠 예비타당성 평가 통과 기준은?
- 종합평가 점수 0.5 이상이면 통과 가능 (단, B/C 1.0 미만이면 위험)
- 낙후지역은 정책성 가중치 상승 → 경제성이 낮아도 통과 가능성 존재
✅ 예타 면제 조건
일부 사업은 아래 조건을 충족할 경우 예타 면제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:
- 국가 재난 대비, 긴급성 있는 사업
- 남북 교류 협력사업 등 특수성 인정되는 경우
-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한 특별 지정사업
- 정부 예타 면제는 국무회의·기획재정부 심사를 거쳐 확정됩니다.
🔍 예비타당성 평가 통과/탈락 사례
🟢 통과 사례:
- GTX A노선: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→ 높은 B/C와 정책성 동시 확보
- 부산 에코델타시티: 친환경 스마트 도시 개발 → 지역균형발전 항목에서 가점
🔴 탈락 사례:
- 충청권 중부내륙철도: B/C 낮음 + 정책성 약함 → 탈락 (재평가 후 일부 구간 추진)
- 제주 제2공항 사업: 환경성·지역 수용성 문제로 보류
⚠️ 예비타당성 평가의 한계와 비판
이슈내용
지역 불균형 논란 | 인구 적은 지방은 경제성 낮아 평가에서 불리 |
민원성 사업 회피 | 주민 요구는 크지만 예타 기준 미달로 좌절되는 사례 |
정성적 평가 한계 | 정책성·균형성 항목은 주관적 해석 여지 존재 |
관료주의 | 평가 과정이 복잡하고 장기화, 사업 지연 유발 |
💬 예비타당성 평가에 대한 사회적 논의
- “지역 소멸 방지를 위한 지방 예타 기준 완화 필요하다”는 주장 증가
- “정치 논리로 예타 면제 남발은 재정건전성 훼손”이라는 반론도 존재
- 해결책: 경제성에 지역가중치 반영 + 평가 기준의 투명성 강화 필요
📚 참고자료
- 기획재정부 예비타당성조사 지침(2023)
- 한국개발연구원(KDI), https://www.kdi.re.kr
- 국토연구원, 『국가균형발전과 예타제도의 재설계 방안』(2022)
✅ 마무리 요약: 예비타당성 평가란?
- 예비타당성 평가는 대형 공공사업의 경제성, 정책성, 균형발전 가능성을 사전 검증하는 제도
- 500억 이상 사업에 의무 적용, 단순 B/C 외에도 정책적 필요성을 반영
- 지역 불균형, 정치성 논란 등 보완 과제도 존재하지만
- 세금 낭비를 줄이고 공공투자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필수 장치
반응형